일단은 서버용으로 사용할테니 원격접속 설정을 해주자
SSH 파일 생성
SD카드를 리더기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하고 boot에 ssh파일을 생성해준다
확장자가 없음에 주의
wpa_supplicant.conf 설정
라즈베리파이 4가 아닌경우 무선 접속을 위해 WIFI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wpa_supplicant.conf를 생성해준다 (이번엔 확장자가 .conf다)
![](https://blog.kakaocdn.net/dn/dsMnFe/btq56cUSDbX/EtyaVuxScc0bE3vByTUiPk/img.png)
이후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ctrl_interface=DIR=/var/run/wpa_supplicant GROUP=netdev
update_config = 1
network = {
ssid="network_name"
psk="network_password"
}
network_name에 연결한 와이파이 이름을
network_password에 연결한 와이파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저장한다
이후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를 장착하고 전원을 킨다
ip 알아내기
이미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비안를 설치해서 gui접근이 가능하다면 터미널을 통해 라즈베리파이의 ip를 알아낼 수 있다
hostname -I
그렇지 않다면 공유기에 접근하여 사용자 정보를 조회해야 한다
iptime
보통 가장 많이 쓰는 공유기 모델이다
192.168.0.1 로 접속한다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admin이다
안된다면 공유기를 한번 초기화해보자
관리도구 클릭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 내부 네트워크 설정
iptime 공유기에는 IP주소와 함께 raspberrypi를 표시해준다
dlink
192.168.1.1 로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admin이다
상태정보 -> 사용자 정보 클릭
뒤의 숫자가 큰 것이 나중에 IP를 할당받은 것이므로 보통은 그것이 라즈베리파이다
SSH 접속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아무래도 putty다
Download PuTTY - a free SSH and telnet client for Windows
Is Bitvise affiliated with PuTTY? Bitvise is not affiliated with PuTTY. We develop our SSH Server for Windows, which is compatible with PuTTY. Many PuTTY users are therefore our users as well. From time to time, they need to find the PuTTY download link. W
www.putty.org
다운로드 받은 뒤 실행한다
SSH를 선택한 뒤 IP주소를 입력하고 open를 클릭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성공이다
기본 user인 pi로 로그인해보자
설치 때 비밀번호를 바꾸었다면 그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한다
로그인에 성공하면 라즈비안 터미널로 접속된다
'작업일지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berryPi] 우분투로 마크 서버 만들기 (0) | 2021.11.30 |
---|---|
라즈베리파이 여러가지 자잘한 것들 (0) | 2021.07.11 |
라즈베리파이 cpu온도 모니터링 (0) | 2021.05.29 |
라즈베리파이4 한글 입력 설정 (0) | 2021.05.29 |
라즈베리파이4 설치기 (0) | 2021.05.26 |